공공장소 속 ‘흡연 부스’ 디자인의 미래 – 설치 조건, 비용, 운영까지 완벽 가이드
공공장소 속 ‘흡연 부스’ 디자인의 미래 – 설치 조건, 비용, 운영까지 완벽 가이드
흡연 부스는 더 이상 임시 시설이 아닙니다. 도시의 시각 질서, 비(非)흡연자 보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 그리고 브랜드 아이덴티티까지 담아내는 공공 디자인 오브제이자 도시 서비스입니다.
이 글은 실무 디자이너, 지자체 담당자, 시설 관리자를 위해 디자인 디테일 → 설치 기준 → 비용 구조 → 운영·유지보수 → 민원 대응까지 한 번에 정리한 심화 가이드입니다.
1. 디자인 설계 가이드: 형태·재료·조명·공기·브랜딩
1-1. 형태(Form)와 구조(Structure)
- 모듈화: 전시부스처럼 볼트-너트 결합형 알루미늄 프레임 + 교체형 패널로 설계하면 이설·증설이 용이합니다.
- 심리적 동선: 좁은 입구 → 넓은 내부의 역콘트라스트로 자연스런 정렬 유도(행태유도 디자인).
- 개방·밀폐의 균형: 외부에는 반투명으로 시각적 차폐, 내부는 투명으로 개방감을 확보(민원·안전 두 마리 토끼).
- 안전 구조: 모서리는 R각 처리, 유리는 강화유리·적층유리 검토. 발화 물질 접촉부는 불연(난연) 마감.
1-2. 색채(Color)와 재료(Material)
- 도시 맥락: 무채색(Gray/Charcoal)에 1 포인트 컬러(도시 BI/CI)를 얹는 것이 무난합니다.
- 촉감·질감: 금속의 차가움을 우드텍스(흡음 우드 질감)나 헤어라인 금속으로 중화. 내부 바닥은 논슬립·방수 필수.
- 기능성: 외벽 = 분체도장 금속/복합패널, 내부 = 항균·탈취 마감, 재활용 가능 재료로 ESG 실천.
1-3. 조명(Lighting)과 정보디자인
- 간접 라인 조명: 눈부심 없이 표면만 밝히는 코브/라인 조명 구조. 야간 시인성 + 안전성 확보.
- 점유 상태 표시: LED 인디케이터로 “사용 중/여유”를 컬러로 직관 표시(UX).
- 태양광: 지붕 태양광 패널 → 야간 조명·센서 전원 일부 자립. ESG 메시지를 조형으로 표현.
1-4. 공기 흐름(Air Flow)과 냄새(Deodorization)
- 배기 방향: 이용 동선 반대측 상단으로 흡·배기. 외부 인파·점포에 역류하지 않는 배출 방향을 설계.
- 필터 전략: 활성탄 중심(냄새 저감) + 필요 시 프리필터. HEPA는 냄새 저감 목적엔 과 스펙일 수 있음.
- 유지관리성: 필터·팬은 전면 열림형으로 도구 없이 교체 가능하게(다운타임 최소화).
1-5. 브랜딩·사인(Signage)·문화요소
- 도시 브랜드: 컬러·폰트·pictogram 통일. 과도한 광고화는 지양, “공공성” 우선.
- 메시지: “연기는 잠깐, 배려는 오래” 같은 소프트 톤 배려 메시지.
- 접근성: 문턱 제거, 핸드레일·점자표기·야간 대비(High Contrast)로 접근성 강화.
2. 설치 기준: 입지 선정, 법·행정, 전기·기초, 민원 대응
2-1. 입지 선정 체크리스트
- 유동인구 분석: 피크 시간·결절점·대기행렬 관찰 + 간이 계측.
- 바람길: 코너·수목 등 와류 지점 회피, 배출은 보행 흐름의 반대.
- 주변 민감도: 상가/주거 출입구·아동시설·승강장과 직선 유입 방지.
2-2. 법·행정(한국 기준 개요)
- 금연구역: 국민건강증진법 제9조 및 지자체 조례 확인.
- 시설물 설치 승인: 점용허가·시설물 신고·디자인 심의 등.
- 안전: 피난 동선 방해 금지, 전기 접지·차단기·분전함 규격.
※ 참고: 법제처 법령정보센터(국민건강증진법)
2-3. 전기·기초·배수
- 전원: 조명·팬·센서·CCTV 고려, 태양광 보조 가능.
- 기초: 앵커 고정/하중 분산형 베이스, 지반침하·배수 고려.
- 배수: 바닥 경사 + 배수구/트랩 설계.
2-4. 민원 대응 설계
- 아이컨택 감소: 반투명 외피로 시선 충돌 완화.
- 냄새·소음: 상향 배기, 저진동 마운트, 야간 휘도 조절.
- 치안: 내부 사각 최소화, 외부 윤곽 가시성 확보.
3. 사양서(RFP) 템플릿: 발주·입찰 시 바로 쓰는 항목
항목 | 사양(예시) | 비고 |
---|---|---|
수용 인원 | 1~3인 / 2~4m² | 혼잡·대기 최소화 설계 |
구조 | 알루미늄 프레임 + 교체형 패널 | 이설·증설 용이 |
외피 | 반투명/투명 강화·적층유리 | R각, 파손 방지 |
환기 | 상단 배기·하부 흡기, 가변 풍량 | 필터: 활성탄 + 프리필터 |
조명 | 간접 라인 조명(주백색) | 점유 상태 LED 표시 |
전원 | AC + 태양광 보조(선택) | 접지·차단기 포함 |
센서/IoT | 공기질 센서, 원격 모니터링 | 필터 교체 알림 |
브랜딩 | 도시 BI/CI 컬러 반영 | 과도한 광고 금지 |
4. 비용 분석: 기본형·표준형·스마트형 비교
아래 금액은 2025년 기준의 참고 견적 범위로, 크기·마감·ICT 스펙·현장 여건(전기 인입/기초공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부가세/VAT 별도 가정)
항목 | 기본형 | 표준형 | 스마트형 |
---|---|---|---|
구조/외피 | 800~1,000만 원 | 1,200~1,500만 원 | 1,600~2,000만 원 |
환기/필터 | 150~250만 원 | 250~350만 원 | 350~600만 원 |
조명/전기 | 80~150만 원 | 120~200만 원 | 200~350만 원 |
센서/IoT | - | 80~150만 원 | 150~300만 원 |
운송/설치 | 200~300만 원 | 250~400만 원 | 300~500만 원 |
총계(예) | 1,300~1,700만 원 | 1,900~2,600만 원 | 2,600~3,750만 원 |
※ 연간 운영비(필터·청소·소모품·경상유지) 예: 기본형 50~80만 원 / 스마트형 120~250만 원.
5. 운영·유지보수(O&M)와 KPI: 보기 좋은 공공시설의 조건
- 청소: 일일 표면 청소, 주 1회 바닥 고압 세정, 월 1회 유리 스케일 제거.
- 필터: 냄새·오염도에 따라 월 1~3회 교체(활성탄 기준). IoT 알림 권장.
- 점검: 조명·팬·센서 월간 점검, 외피 균열·패킹 상태 분기 점검.
- KPI: 민원 건수, 평균 체류시간, 정시 가동률, 유지보수 리드타임, 만족도.
운영 계약 모델
- 연간 유지보수 패키지: 월 정액(필터+청소+점검)로 예산 안정화.
- 원격 모니터링: 센서 데이터 기반 선제 대응(팬/필터/전력 이상).
FAQ
Q1. 밀폐형 vs 개방형, 무엇이 좋나요?
A. 밀폐형은 냄새·민원 관리에 유리, 개방형은 비용·환기에 유리합니다. 인구밀도·민감도로 결정하세요.
Q2. HEPA 필터가 꼭 필요한가요?
A. 담배 냄새 저감 목적에는 활성탄이 핵심입니다. 초미세입자 포집이 목표라면 HEPA 병행 검토.
Q3. 전기 인입이 어려운 곳도 가능한가요?
A. 태양광 + 배터리로 조명·센서 일부 자립 가능하나, 환기팬 상시 가동엔 안정 전원이 유리합니다.
Q4. 민원을 줄이는 가장 빠른 방법은?
A. 반투명 외피, 상향 배기·측풍 차단, 야간 휘도 조절, 치안 가시성 확보.
Q5. 유지보수 비용을 줄이려면?
A. 프론트-로딩 필터, 공용 부품 표준화, IoT 알림으로 ‘고장-전’ 정비.
Q6. 공모·입찰에서 무엇이 먹히나요?
A. ESG, 접근성, 민원 저감 UX, 모듈화, 운영 KPI 계획.
결론
흡연 부스 디자인은 경계를 설계하는 일입니다. 격리하되 배제하지 않고, 보이되 과시하지 않으며, 기능과 미감을 함께 세웁니다. 설치 전 입지·바람·민감도를 정교하게 읽고, 모듈·환기·유지보수를 설계에 처음부터 녹여 넣으세요.
ⓒ 디자인로브(designrov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