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런 성격! 컬러로 표현하는 나만의 휴대폰 케이스!
이 글은 하나의 동일한 DIY 공정(베이스 시트지 + 기성 스티커)만으로 MBTI 16타입을 표현하는 가이드다. 스프레이·레진·UV 경화 같은 고난도 공정은 제외하고, 집에서 20~30분이면 끝나는 방식만 모았다. 핵심은 공정은 같고 디자인(컬러·모티프)만 다르다는 점! 같은 방법으로 만들었어도, 성격에 맞춰 색과 스티커를 바꾸면 전혀 다른 무드가 된다.
컬러가 주는 인상은 생각보다 강력하다. 뉴트럴 바탕에 네온 1포인트를 얹으면 다이내믹해지고, 파스텔과 반투명 스티커를 쓰면 감성적인 분위기가 생긴다. 공간·제품에서 컬러가 작동하는 법은 최신 컬러 트렌드 정리에서도 자세히 다뤘다.
아래 내용은 디자인을 하기 위한 베이스 형태임으로 컬러와 이미지 등 나만의 디자인을 하기 위한 참고용 가이드 임을 이해해주길 바란다.
표준 공정 — “베이스 시트지 + 기성 스티커” (모든 타입 공통)
- 준비물: 투명 케이스, 시트지(무광/유광/투명 중 택1), 기성 스티커(라인·라벨·도형·아이콘), 알코올 솜, 가위/커터, 밀대.
- 탈지: 케이스 표면을 알코올 솜으로 닦아 기름기 제거. 먼지/보풀은 테이프로 톡톡.
- 베이스 부착: 기종 템플릿 기준 2~3mm 여유로 재단 → 평면→곡면 순서로 붙이고 모서리는 안쪽으로 말아 마감.
- 스티커 레이어링: 큰 라인/도형 → 작은 아이콘/라벨 순. 가장자리 3~5mm, 카메라홀/버튼 주변 1~2mm 여백 유지.
- 검수: 기포는 핀으로 미세 천공 후 밀대로 정리. 살짝 들뜬 곳은 헤어드라이어 약풍으로 데워 눌러 고정.
레이아웃 4원칙 — 여백(10–15%) · 정렬(수직/수평 기준선) · 대비(밝/어두움·채도·선 굵기) · 반복(라인·점·도형 리듬).
MBTI 16타입 디자인 매핑 — 공정은 같고 디자인만 다르게
아래 표는 베이스 시트지 컬러와 스티커 모티프를 타입별로 추천한다. 동일 공정이므로 선택만 바꾸면 된다.
타입 | 키워드 | 베이스 컬러 | 스티커 모티프 | 한 줄 레시피 |
---|---|---|---|---|
INTJ | 전략·절제 | 차콜 무광 | 실버 얇은 그리드 라인 | 차콜 바탕 + 실버 라인 1~2줄만 |
INTP | 탐구·실험 | 블랙 무광 | 화이트 미세 라인 + 소형 도형 1개 | 블랙에 점/삼각 1개로 밸런스 |
ENTJ | 리더·직선 | 미드나잇 네이비 | 메탈릭 대각 스트라이프 | 네이비 + 실버 대각선 굵게 1줄 |
ENTP | 대비·재치 | 차콜 | 네온 라임 코너 테이프 + 삼각 | 코너 포인트 + 도형 1개로 역동 |
INFJ | 사려·여백 | 새벽 블루 | 반투명 펄 초승달 | 하단 좌측에 초승달 1개만 |
INFP | 감성·순도 | 크림 | 라일락 스타 2~3개 | 작은 별을 흩뿌리듯 배치 |
ENFJ | 조화·따뜻 | 로즈 | 골드 도트 소형 대칭 | 상하/좌우 대칭으로 균형감 |
ENFP | 유쾌·다채 | 민트/코럴 | 스마일/심볼 2~3개 랜덤 | 중앙/코너 랜덤으로 활기 |
ISTJ | 정돈·신뢰 | 네이비 | 스몰 라벨 1개 | 하단 중앙 라벨 하나만 |
ISFJ | 담백·안정 | 크림 | 베이지 패치 1개 | 좌측 하단 패치로 포인트 |
ESTJ | 규범·균형 | 포레스트 그린 | 얇은 트윈 스트라이프 | 우측 엣지 평행선 2줄 |
ESFJ | 깔끔·친화 | 화이트 | 라운드 보더 | 연회색 라운드 프레임 |
ISTP | 기능·간결 | 샌드 | 블랙 테크 라인 | 상/하단 가는 테크 라인 |
ISFP | 자연·부드러움 | 세미 투명 | 카키 리프형 도형 | 리프 2장 비대칭 |
ESTP | 스피드·대비 | 투명 | 네온 라임 라벨 + 블랙 아웃라인 | 대담한 네온 라벨 1개 |
ESFP | 에너지·포인트 | 샌드 베이지 | 오렌지 원형 1개 크게 | 중앙에 대담한 원형 |
타입별 서술형 가이드 — 같은 공정, 다른 무드
공통 전제: 모두 ‘베이스 시트지 + 기성 스티커’만 사용. 성격은 컬러·모티프로 표현.
Analysts (NT) — INTJ / INTP / ENTJ / ENTP
INTJ: 차콜 무광 + 실버 그리드 1~2줄. 한 축(수직/수평)만 강조하면 절제된 집중감이 산다.
INTP: 블랙 무광 + 화이트 미세 라인 + 작은 도형 1개. 중심에서 10~15% 비켜 배치해 실험적 균형.
ENTJ: 미드나잇 네이비 + 메탈릭 대각 1줄(상단 좌→우 하단). 추진력·리더십의 시각화.
ENTP: 차콜 + 네온 라임 코너 테이프 + 삼각 1개. 직선과 날카로운 도형으로 대비·재치.
Diplomats (NF) — INFJ / INFP / ENFJ / ENFP
INFJ: 새벽 블루 + 반투명 펄 초승달 1개(하단 좌측). 비워둔 여백이 메시지.
INFP: 크림 + 라일락 스타 2~3개를 흩뿌리듯. 낮은 채도·불규칙 간격이 순도 있는 무드.
ENFJ: 로즈 + 골드 도트 소형을 상하/좌우 대칭. 배려의 안정감을 균형으로 표현.
ENFP: 민트/코럴 + 스마일/심볼 2~3개 랜덤. 서로 겹치지 않게 1/3·2/3 지점에 배치.
Sentinels (SJ) — ISTJ / ISFJ / ESTJ / ESFJ
ISTJ: 네이비 + 스몰 라벨 1개(하단 중앙). 정보는 한곳에 모으고 테두리는 0.5~1mm로 얇게.
ISFJ: 크림 + 베이지 패치 1개(좌측 하단). 조용한 안정감.
ESTJ: 포레스트 그린 + 얇은 트윈 스트라이프(우측 엣지 평행). 규칙성과 신뢰.
ESFJ: 화이트 + 연회색 라운드 보더. 모서리 반경을 크게 두면 친화력이 산다.
Explorers (SP) — ISTP / ISFP / ESTP / ESFP
ISTP: 샌드 + 블랙 테크 라인 1~2개(상/하단). 포트·버튼 라인과 평행 맞추기.
ISFP: 세미 투명 + 카키 리프 2장 비대칭. 15~20%만 겹쳐 부드러운 겹침.
ESTP: 투명 + 네온 라임 라벨 1개 + 블랙 아웃라인. 고대비로 속도감.
ESFP: 샌드 베이지 + 오렌지 원형 1개 크게(중앙). 나머지는 과감히 비우기.
디자인을 ‘더’ 잘 보이게 하는 컬러 전략
- 뉴트럴 베이스 + 강한 포인트: 크림/차콜/네이비 바탕에 네온·메탈릭 1포인트가 선명하다.
- 채도 차: 같은 색상군이라도 채도를 30~40% 차이나게 하면 레이어가 또렷해진다.
- 선 굵기: 0.5mm/1mm/2mm의 3단 굵기만으로도 리듬이 생긴다.
- 반투명 활용: 반투명 스티커 겹침은 미세 그라데이션 느낌을 만든다.
초보가 자주 하는 실수 & 해결
- 모서리 들뜸 → 안쪽으로 말아 넣고 끝단만 약풍으로 데워 밀대로 눌러 고정.
- 과다 배치 → 스티커 3~5개 내에서 끝내고 여백 10~15% 확보.
- 카메라홀 간섭 → 템플릿 재단 후 1mm 추가 여유로 안전 마진.
- 색 경계 흐림 → 유광/무광·불투명/반투명 등 질감 차를 줘 라인을 또렷하게.
작업 시간·비용 감각(1개 기준)
- 시간: 초보 25~30분 / 숙련 15~20분
- 비용: 시트지 A4 1장 + 스티커 소량 ≈ 2,000~5,000원(보유 케이스/도구 제외)
- 교체 주기: 베이스 3~6개월, 스티커는 수시 교체
FAQ
- 정말 같은 방식으로 만들었나요?
예. 모든 이미지는 베이스 시트지 + 기성 스티커만 사용하고, 타입별로 컬러·모티프만 다르게 했다. - 초보도 가능한가요?
가능. 커터·밀대만 있으면 20~30분 내 작업 가능하며, 실패해도 시트지만 교체하면 된다. - 자주 바꾸고 싶다면?
베이스를 뉴트럴(크림·차콜 등)로 두고 스티커만 교체하면 5분 컷. - 저작권 주의사항?
브랜드 로고·상표·캐릭터는 사용 금지. 오리지널 심볼/도형을 권장.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6 최신 인테리어 컬러 트렌드 — 색의 언어와 팔레트
- 이탈리아 골목 디자인 여행 — 색채로 읽는 도시 무드
- 이케아 동선 디자인의 심리학 — 왜 우리는 그 길로 걷게 될까
- Nix Mini 3 컬러 측정기 리뷰 — 색을 정확히 데려오는 법
문의: help.designrove@gmail.com
ⓒ designrove — 본 콘텐츠는 디자인 관점에서 제작된 가이드이며 무단 전재·복제를 금합니다.